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8

건축물 구조(라멘구조, rc구조 등) 오늘은 설계&시공할 때 자주 사용되는 건축물 구조를 알아보겠습니다~   건축물대장에는 어떠한 재료 또는 구조로 지어진 건축물이냐에 따라 다르게 적혀있습니다.    - 사용재료에 구분되는 건축물 - 1. R.C 철근콘크리트조 (Reinforced Concrete) : 가장 흔한 철근 콘크리트조 / 철근+콘크리스로 구조 2. S.R.C 철골철근콘크리트조 (Steel Reinforced Conerete) : 철골, 철근, 콘크리트의 재료를 사용하여 구조 / 철골(골조가 철골로 된 구조) + 철근 + 콘크리트 구조 3. P.C조 (Pre-casted Concrete) : 부재별 철근배근 및 콘크리트를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으로 운반 후 현장에서 조립하는 구조  *골재란 : 건설공사에 사용되는 모래, 자갈, 암석.. 2025. 4. 1.
건축물의 높이 산정 (옥상 난간벽 높이산정제외) '옥상난간 높이산정'  건축법 제 제60조(건축물의 높이 제한) 및 제61조(일조 등의 확보를 위한 건축물의 높이 제한)에해당하는 건축물을 설계를 하실 때에는   건축법 시행령 제119조(면적 등의 산정방법) 1항5. 건축물의 높이: 지표면으로부터 그 건축물의 상단까지의 높이[건축물의 1층 전체에 필로티(건축물을 사용하기 위한 경비실, 계단실, 승강기실,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것을 포함한다)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법 제60조 및 법 제61조 제2항을 적용할 때 필로티의 층고를 제외한 높이]로 한다.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각 목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라. 지붕마루장식ㆍ굴뚝ㆍ방화벽의 옥상돌출부나 그 밖에 이와 비슷한 옥상돌출물과 난간벽(그 벽면적의 2분의 1 이상이 .. 2025. 3. 27.
피난계단, 특별피난계단 설치기준 및 설치대상 안녕하십니까! 오늘은 피난계단과 특별피난계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계단은 3가지의 종류가 있습니다.1. 직통계단   2. 피난계단  3. 특별피난계단  ' 직통계단 '건축물의 모든 층에서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직접 연결되는 계단 건축물의 5층이상 또는 지하 2층 이하의 층으로부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은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  ' 피난계단 '설치기준 : 지하 2층 이하 또는 지상 5층 이상 건축물 설치 예외) 1. 5층 이상인 층의 바닥면적을 200㎡ 이내마다 방화구획한 경우2. 5층 이상인 층의 바닥면적 합계 200㎡ 이하인 경우 피난계단은 실내나 실외에 모두 설치할 가능성이 있어, 「건축법」은 피난계단의 요건으로 실내·외를 구분하여 각각 규정하고 있습니다. 피난.. 2024. 6. 25.
건축물의 기초(바닥) 종류와 설명,표기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축물이 지어지려면 중요한 바닥기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기초 '건물의 모든 하중을 받아 안전하게 지반(땅의 표면)에 전달하는 건축물 최하부에 있는 구조부하중으로 인한 침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기초의 하중을 안전하게 받을 수 있는 견고한 지반에 설치해야 합니다.      기초는 크게 얕은 기초와 깊은 기초로 분류합니다.얇은 기초 : 기초판의 하부에 잡석, 모래다짐등의 지정을 하는 방식깊은 기초 : 기초판의 하부에 말뚝 등으로 상부 하중을 전달하는 방식  ' 얇은 기초 '1. 독립기초 : 단일 기둥을 받치는 기초 기둥사이 거리가 멀고, 지내력이 비교적 양호한 경우에 적용합니다. 정방향 또는 장방형을 띄고 있습니다. 기초라는 뜻의 "footing"에서 F를 따와 F1, F2, F3 .. 2024. 6. 23.
조경면적 산정 기준, 적용범위 안녕하십니까, 날씨가 너무 더워졌습니다. ㅎㅎㅎ오늘은 조경면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조경면적에 관해서는 건축법에의한 모법을 따르고, 각 지역 조례를 따라야합니다! 조경면적 [건축법] 제42조 1항① 면적이 200제곱미터 이상인 대지에 건축을 하는 건축주는 용도지역 및 건축물의 규모에 따라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대지에 조경이나 그 밖에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를 따라야하기때문에 서울특별시 건축 조례를 예로 들겠습니다)ex )서울특별시 건축 조례제24조(대지안의 조경) ① 면적 200제곱미터 이상인 대지에 건축물을 건축하고자 하는 자는 법 제42조제1항에 따라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른 식수 등 조경에 필요한 면적(이하 "조경면적"이라 한다).. 2024. 6. 17.
필로티 구조(정의, 조건, 면적, 높이 산정 등) 안녕하세요! 요즘 각 시에서 공동주택 설계 시, 저층부 필로티를 권유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필로티 구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필로티란 무엇이냐,기둥과 내력벽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만 설치하여 1층을 개방시킨 구조입니다.[ 벽면적의 2분의 1 이상이, 바닥면에서 위층 바닥 아래면까지 공간으로 된 것만 해당 ]즉, 1층 필로티 벽 절반이상이 개방되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상부에 구조물이 없는 것은 필로티 구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    [ 바닥면적 산정 제외 ] 건축법시행령 제119조공중의 통행이나 차량의 통행 또는 주차에 전용되는 경우와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바닥면적에 산입 하지 아니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 높이 산정 제외 ] 건축법시행령 제119조지표면으로부터 그.. 2024. 5. 20.
계단 설치기준( 단높이,단너비,난간높이,손잡이 ) 안녕하세요!오늘은 계단의 설치기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계단설치기준은 [건축물의 피난, 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15조에 나와있습니다.- 건축법의 의해 연면적 200㎡을 초과하는 건축물에는 계단을 설치하여야 합니다.    - 설치기준 일반사항 -1)  높이가 3미터를 넘는 계단에는 높이 3미터 이내마다 유효너비 120센티미터 이상의 계단참을 설치할 것     * 계단참은 1200mm 이상 (실시할 때에는 난간 끝을 기준으로 벽까지 1200mm 이상을 띄웁니다.) 2) 높이가 1미터를 넘는 계단 및 계단참의 양옆에는 난간(벽 또는 이에 대치되는 것을 포함한다)을 설치할 것  3) 너비가 3미터를 넘는 계단에는 계단의 중간에 너비 3미터 이내마다 난간을 설치할 것.(계.. 2024. 5. 1.
설비시설 (방재실,MDF,PIT,전기실,기계실,EPS/TPS/PD 등) 용어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축설비에 관한 용어들을 알아보겠습니다! '건축설비' 란 건축물에 설치하는 전기·전화 설비, 초고속 정보통신 설비,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 가스·급수·배수·환기·난방·냉방·소화·배연 및 오물처리의 설비, 굴뚝, 승강기, 피뢰침, 국기 게양대, 공동시청 안테나, 유선방송 수신시설, 우편함, 저수조, 방범시설, 그 밖에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설비를 말합니다. 이 설비시설이 들어간 '실'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 방재실 : '재해를 감시하는 곳'이며, 일반적으로는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의 공동주택이나 상업용 빌딩 등에서 전기, 배관 등의 설비기사들이 상주하는 곳이 된다. - MDF실 : ( Main Distribution Frame)의 약자로 주배전반이란 뜻, 일반적으로 구내 통신실이라.. 2024. 4. 3.
소방관 진입창 (목적,설치기준, 설치대상,세부 기준) 안녕하세요. 제가 왔습니다~ ㅎㅎ.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2024. 3. 28.

TOP

Designed by 티스토리